HEC-EFM "입력 변수"는 수문학과 생태학 사이의 연관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탭입니다. 입력 변수는 일반적으로 전문가들의 전문 지식과 생태 문헌의 조합을 통하여 과학자 및 엔지니어팀에 의해 개발됩니다. 입력 변수는 통계분석변수, 지리정보변수, 기타분석변수 및 옵션 (그림 4)의 네 가지 프레임으로 구분되는 입력 변수(Relationships) 탭에서 정의됩니다.

그림 4. HEC-EFM의 입력 변수 탭을 사용하여 사용자는 통계해석변수 및 지리정보변수와 연계된 각각의 생태수문 입력변수를 정의합니다.
통계분석변수 – 통계분석변수를 통해 사용자는 통계 분석을 정의하는 모의기간(Season), 지속기간(Duration), 변화율(Rate of change) 및 초과확률(Exceedance)을 입력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입력변수에 대해 통계분석이 수행됩니다. 통계분석변수의 모든 매개변수는 입력 할 필요는 없으며 중요한 매개변수만 입력 할 수 있습니다. 시계열정보는 빈도개념(초과확률) 또는 지속기간 개념(시간에 대한 백분율)으로 입력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계분석변수는 통계 분석에 사용할 유량 및 수위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Water year range, Individual water year 또는 Relationship-define water year에 대한 옵션이 제공됩니다.
지리정보변수 – 지리정보변수를 통해서 사용자는 공간적 관점에서 생태수문 입력변수를 정의할 수 있습니다. 지리정보변수는 "편집 – 지리 정보 관리…" 메뉴 옵션을 선택하여 지리정보에 대한 태그 관리 메뉴(그림 5)를 통해 사용자가 생성합니다. 사용자는 태그를 생성하고 각각의 변수에 중요한 태그를 지정합니다. 이 작업은 태그에서 지정된 정보를 지리정보시스템(GIS,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과 연계하기 위해 HEC-EFM 에서 텍스트 필드를 만듭니다. 태그는 HEC-EFM 프로젝트에 중요한 공간 레이어를 식별하는 메뉴입니다.

그림 5. HEC-EFM의 지리정보에 대한 태그 관리 메뉴는 HEC-EFM 프로젝트에 중요한 공간 데이터를 편집하고 생성하는데 사용됩니다.
기타분석변수 – HEC-EFM 생태수문 입력 변수에 대한 통계분석 결과는 해당 생태수문 입력 변수에 대해 지정된 통계 조건에 충족하는 한 쌍의 유량 및 수위데이터로 구성됩니다.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은 Reverse lookup 및 생태지수 분석 기능입니다. Reverse lookup은 사용자가 지정한 유량값에 대해 같은 값이거나 초과되는 연도 또는 시간에 대한 백분율을 계산합니다. 생태지수 분석 기능은 서로 다른 유황 데이터의 생태지수를 집계합니다(섹션 3.6.1 및 3.6.3 참고). 생태수문 입력 변수에 대해 생태지수 분석 기능이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변수를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수행되는 모든 단계에 추가로 분석이 수행됩니다. 또한 생태지수 분석 기능을 사용하려면 유량 증감에 따른 생태지수 가설 조건을 적용해야 합니다.
옵션 – 각각의 생태수문 입력 변수에 대해 Array File 생성, 유량 증감에 따른 가설추적 및 신뢰도 추적과 같은 세 가지 옵션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Array File 생성 옵션은 HEC-EFM이 해당 생태수문입력에 대해 수행한 통계해석 결과를 보여주는 파일을 생성합니다. 또한 가설 추적을 통해 사용자는 다양한 유황에 대한 생태 건강의 변화 방향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량 증감이 하천생태계 건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입니다. 이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유량증가 가설 조건이 하천생태계 건강에 도움이 되면(+), 도움이 안되면 (-) 또는 유량변화와 생태건간성이 비선형관계 (곡선(Curve) 버튼사용) 등과 같은 가설 조건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신뢰도 추적은 HEC-EFM의 생태수문 입력 변수의 상대적 신뢰도를 추적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기본값은 별 1개로 표현되며, 신뢰도 지수는 각각의 생태수문 입력 변수에 대해 과학적 근거를 의미합니다. 또한 특정 생태수문 입력 변수에 대한 신뢰도 지수는 연구를 진행하는 팀의 재량에 따라 별의 수(값)를 늘릴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태수문 입력 데이터가 현장 정보로 확인되는 경우, 생태관련 문헌을 통한 근거, 과학자 또는 기관에서 승인을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