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C-EFM의 시계열정보 구성요소에는 초과확률과 분석기간을 설정하기 위한 3개의 옵션이 있다(Water year range, Individual water year, and Relationship-defined water year).
초과확률 옵션은 빈도 또는 지속기간 해석 중 하나의 옵션을 선택할 수 있으며, 2.5절에서 설명한 지속기간과 혼동해서는 안됩니다. 실제로 HEC-EFM의 시계열정보 인터페이스에서 지속기간 해석을 선택하면 통계해석변수의 지속기간 옵션은 회색으로 비활성화 되며, 분석과정에 반영되지 않습니다. 변화율의 경우에도 지속기간과 연관된 유일한 기간 설정인 일 수를 적용합니다. 일수가 1 일로 설정되면 HEC-EFM은 모의기간의 유황 데이터에서 얻은 일평균유량을 사용하여 유황곡선을 생성한 다음 보간법을 이용하여 사용자 정의 백분율에 해당하는 유량을 얻습니다. 변화율 옵션에서 일 수에 2 이상의 정수를 입력하면 HEC-EFM은 해당 기간에 대한 평균 유량 값의 시계열을 계산하고 유황곡선을 생성한 다음 보간하여 사용자 지정 확률과 같거나 초과하는 유량을 얻습니다. 이상의 결과값은 통계 분석을 통해 산출됩니다.
빈도 옵션을 선택하면(그림 10)과 같이 HEC-EFM은 모의기간별 분석 결과(모의기간, 지속기간 및 변화율 옵션을 통해 계산된)의 순위를 매기고, 사용자가 설정한 초과확률과 같거나 큰 유량 값(또는 수위, 변화율 옵션에서 수위를 선택하는 경우)을 얻기 위해 보간합니다. 이상의 결과 값은 통계분석을 통해 산출됩니다..

그림 10. 모의기간 및 지속기간의 입력변수에 대한 시계열 데이터 분석(그림 8 참조). 통계분석 결과는 초과확률25 %와 같거나 초과하는 유량을 충족하는 결과입니다(유량빈도해석). 통계해석변수 (오른쪽 그림)는 그림 4의 EFM 인터페이스와 동일합니다.
유량값의 순위를 정하고 보간하는 과정은 속성정보 탭(그림 2)에 정의된 전체 유황 데이터에 대해 또는 Water year range control(그림 10)를 통해 모의기간 분석이 여러 해(수십년) 동안 계산되는 경우에만 필요합니다.
Individual water year및 Relationship-defined water year 분석은 단일 연도로 제한합니다. Individual water year에 대해 사용자는 평가할 water year를 지정합니다. 생태수문 입력 변수와 지정된 water year의 경우 사용자는 분석할 별도의 생태수문 입력 변수를 선택하고 HEC-EFM은 통계 결과와 가장 근접한 모의기간 분석 결과 (또는 분석결과와 비슷한 과거 water year)를 결정합니다. 그런 다음 생태수문 입력 변수를 평가할 때 water year가 사용됩니다. 두 경우 모두 모의결과가 하나뿐이므로 통계 결과로 보고됩니다.